전체 글(22)
-
흙과 비료
흙은 식물이 자라는 바탕 기후 조건과 함께 화초를 기르는 데 있어서 가장 신경을 써야 할 것이 바로 자라는 바탕이 되는 흙이다. 흙은 얼핏 보아 그게 입자만을 생각하기 쉽지만 흡입 자 외에도 수분 공기 유기 물을 포함하고 있다. 흔히 질이 좋은 흙이라 하면, 흙 입자 즉 고형 성분이 50%, 수분이 25%, 공기가 25% 포함된 흙이다. 이외에도 좋은 흙은 공기가 잘 통해야 하고 물이 잘 빠지는 흙이면서도 수분을 잘 빨아들여야 한다. 또 거름기, 즉 양분이 많은 흙이 병충해가 적은 흙이다. 비료는 식물 특성에 맞게 선택 화초가 잘 자라게 하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양분을 균형 있게 공급해 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자연 상태의 흙에서 부족한 양분은 화초나 흙에 비료를 줌으로써 알맞게 보충해야 한다. 하..
2019.09.13 -
식물 병해충
안녕하세요~^^ 함께 공부해요. 병해충 실내 식물에서 흔히 발견되는 병해충으로는 응애 깍지벌레 개각충 진딧물 등이 있다. 1. 응애 응애는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거의 볼 수 없으며 건조하고 따뜻하면 성장이 촉진된다. 이 해충은 식물의 잎이 아래쪽에 미세한 그물을 치고 식물의 즙을 빨아먹기 때문에 식물의 성장이 멈추거나 죽을 수도 있다. 응애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은 돋보기로 보거나 하얀 종이 위에 식물의 가지를 구 부려 보는 것이다. 만약 먼지 같은 검은색 반 점이 종이 위로 떨어져서 움직인다 면 그 식물은 응애 피해를 입고 있는 것이다. 2. 깍지벌레 깍지벌레의 껍질은 부드러운 가루가 뒤 덮여 있어서 마치 목화 조각처럼 보인다. 식물의 수액을 빠는 해충이므로 식물의 성장을 저해시키거나 뒤 틀리게..
2019.09.13 -
실내식물 재배는 어떻게 할까?
안녕하세요. 다해랑 원예입니다. 실내에서 식물 키우기 공부해볼까요? 온도 온도 실내 식물은 대체로 우리가 계속하게 느끼는 온도에서 잘 자란다. 그러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온도를 바꿔 주거나 김현기 동안에는 서늘한 곳에 두는 등의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식물들도 있다. 대부분의 실내 식물들은 18도에서 24도 사이의 기온에서 잘 자란다 몇 도 정도의 기온 변동이 있더라도 해롭지 않다. 사실 대부분의 식물들이 밤에는 기온이 약간 떨어지는 편을 좋아한다. 창문 바로 옆의 공기는 실내 온도보다 훨씬 더 뜨겁거나 차가 울 수 있으므로 식물을 창문에 너무 가까이 두는 것은 좋지 않다. 또 화기나 난방 장치 냉난방 장치의 환풍구 주위도 피해야 한다. 강하게 불어오는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를 좋아하는 식물은 없기 때문이다..
2019.09.11 -
우리 집 실내 공기 정화 식물
1. 스파티필룸 이 식물은 높은 증산율을 가지고 있으므로 저수조가 큰 수경재배 화분에서 키우면 아주 좋다. 가장 인기 있는 스파티 필 럼 개량 종으로는 키가 60 cm 정도 자라는 클리 브랜 디포 아구 10 cm 정도 자라는 마우나로아가 있다. 위로 곧게 뻗은 줄기에서 순 백색의 불 염포가 자라면서 펼쳐지면 그 안에서 돌기처럼 생긴 진짜 꽃이 있다. 꽃가루가 날리는 것이 문제 될 경우에는 이 꽃을 잘라 버리면 된다 .꽃이 제거돼더라도 불 염포가 손상되지 않아 여러 주에 걸쳐 감상할 수 있다. 병해충 공기가 너무 건조하면 개각충, 응애, 깍지벌레 등이 발생하기 쉽다. 관리 봄에서 가을까지는 주기적으로 비료를 주고 겨울에는 비료 주는 횟수를 줄인다. 생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에는 토양이 촉촉 하도 록 물을 주고..
2019.09.10 -
감 나무 알아볼까요?
감(杮, persimmon) 은 감나무 속 나무에서 나는 과일이다. 단과(丹果)라고도 한다. 감나무(D. kaki)는 한국, 중국, 일본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맛이 매우 달고 가공, 저장이 쉬워 말려 먹거나 다른 음식에 넣어 먹기도 한다. 디오스 프린이라는 탄닌 성분이 떫은맛을 내고 이 성분이 많이 먹었을 때 변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크게 단단한 상태에서 먹는 단감과 완전히 익은 홍시(문화어: 물렁감) 그리고 말려서 먹는 곶감의 형태로 먹는다. 중국 중북부, 일본, 한국 중부 이남에서 널리 재배하는 과실나무이다. 중국에서는 BC 2세기경에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양쯔강 유역이 야생종의 원산지로 많은 품종을 재배한다. 대마반(大磨盤)은 떫은감의 대표종이다. 한국에서도 일찍부터 재배되고 있었으며 품질 ..
2019.09.10 -
자두나무 알아볼까요?
자두나무(plum tree, Prunus salicin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높이 10m에 달하며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불규칙하게 갈라지는 장미과의 갈잎 큰 키 나무이다. 한반도 중부 지방에서 자라며, 자도(紫桃) 나무, 자두나무(李木)라고도 한다. 높이가 10미터에 달하고 작은 가지는 적갈색으로 털이 없으며 광택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광 피침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흰꽃이 보통 3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톱니가 약간 있고 꽃잎은 길이 1cm이다. 열매는 난상 원형 또는 구형이고 7월에 황색 또는 자 적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연한 황색이다. 핵은 도란형이며 양끝이 약간 좁고 겉이 거칠다. 재배종은 열매의 ..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