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2)
-
구근식물
구근식물 화분에 키워 꽃을 피워 보자 구근의 형태에 따른 5가지 분류법 구근 식물은 저온이나 고온에 건조와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지하 부의 일부가 비 대해 지는 여러 해살이 식물이다. 비대 해진 부분의 형태에 따라 비늘줄기 알짜 일기 뿌리줄기 덩이줄기 덩이뿌리의 5가지로 분류한다. 구근 식물은 자생지의 기후에 맞춰진 생육 주기가 있다. 예를 들어 크로커스 나무 수 카리의 자생지는 지중해 연안인데 이 지역은 겨울에는 비교적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림 여 여름에는 고온 건조하다 비가 내리는 겨울에 잎이 생장을 시작하여 꽃을 피우고 여름이 될 때까지 잎으로 광합성을 하여 지하에 구 근에 양분을 가득 비축한다. 기온이 상승하면서 잎이 시들어 버리고 여름에는 물도 영양도 필요 없는 구근 상태로 휴면한..
2019.09.18 -
금송, 백송
히말라야 시더, 아라오카리아와 더불어 세계 3대 공원 수중 하나 금송. 금송은 늘 푸른 바늘잎나무이다. 일본의 고유종이며, 근연종이 없는 살아있는 화석이다. 소나무 종류로 잎 뒷면이 황백색을 띠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다. 키는 10~40m에 이르고, 바늘잎은 두 개씩 묶여서 15~40쌍이 촘촘하게 돌려난다. 잎 양면에 홈이 나 있다. 암수한그루로 3~4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은 둥글고 암꽃은 타원 모양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10월에 여는 열매는 곧게 서고 끝에 잎이 나기도 한다. 백제 무령왕의 무덤인 무령왕릉 내부에 위치한 왕의 관 재료로 쓰였다. 그리스어로 우산과 소나무의 합성어로 "우산 모양의 잎"이라는 의미이며 종명 '버티 실라 타'는 돌려 나기라는 의미입니다. 1명에서 알 수 있듯이 금송은 우산 ..
2019.09.18 -
철쭉, 진달래
철쭉 아름다움의 발걸음이 머뭇거려지는 철쭉 철쭉은 한국 원산의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한국·중국·일본 등에 분포한다. 걸음을 머뭇거리게 한다는 뜻의 ‘척촉(躑躅)’이 변해서 된 이름이다. 개꽃 나무라고도 한다 양이 철쭉꽃을 먹으면 죽기 때문에 보기만 해도 겁을 내요 척촉(제자리걸음) 한다 하여 양 척 촉이라 하였던 것이 철쭉으로 변했다고 합니다. 혹은 꽃 철쭉 척의 아름다움이 발길을 머 뭇 거리 게 (머뭇거릴 촉)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합니다. 키는 2~5m쯤 되며 산에서 흔히 자란 다.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회백색이고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 가지와 꽃자루는 끈끈하다. 어린 가지에 선모가 있으나 점점 없어진다. 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타원 모양이고 털이 있다. 길이..
2019.09.18 -
불두화, 작약, 모란
불두화 부처님 머리처럼 곱슬곱슬한 불두화 불두화, 수국, 백당나무는 꽃 모양이 비슷합니다. 불두화는 백당나무에서 생식 기능을 없앤 꽃남으로 일명 수국 백당이라고도 부릅니다. 즉 백당나무 꽃은 가운데에 작은 정상화가 있고, 그 주변에 큰 장식과 가 있는데 비해 둘두 하는 모든 꽃이 지름 25센티 미터 정도의 공처럼 생긴 무성 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국과 함께 수구화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 데 그 뜻은 비단에 둥근 공과 같은 꽃을 수놓았다는 뜻입니다. 영어 이름도 꽃 모양에서 유래한 스노볼 트리입니다. 꽃이 무성 화이기 때문에 꿀 재미없고 향기도 없어서 벌과 나비도 찾지 않는 슬픔을 간직한 꽃입니다. 불두화라는 이름은 꽃의 모양이 부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기 때문에 붙여 씁니다. 뿐만 아니라 부처가 태어난..
2019.09.18 -
밤 나무 알아볼까요?
밤나무는 2,000여 년 전 중국의 승려가 우리나라를 왕래하면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려 예종 13년(1118년)에는 왕이 농경지를 제외하고 나무가 자랄 만한 곳에는 밤나무와 옻나무, 닥나무를 심으라고 전국에 영을 내리기도 했다. 또한 조선시대 최초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밤나무 과수원 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고, 『속대전』에는 밤나무를 심어서 밤 생산을 많이 하는 농민들에게 부역을 면제해 주는 혜택까지 주며 장려했다고 기록되었다. 밤나무는 세계적으로 11종류가 있는데, 산밤을 기본으로 해서 개량한 한국 계통의 밤, 천진율이나 약밤의 중국 계통, 미국 계통의 밤나무 그리고 밤알이 굵고 겨울에 잎이 잘 안 떨어지는 유럽 계통의 밤나무로 나눌 수가 있으며, 기호나 용도에 맞게 수많은 ..
2019.09.16 -
대추나무 알아볼까요?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활엽 관목으로, 원산지는 인도이며 높이는 약 5m 정도이다. 꽃은 5-6월에 2~3개씩 모여서 달리며, 꽃잎이 다섯 장이고 노란빛이 도는 녹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보인다. 나무에 가시가 있고 마디 위에 작은 가시가 다발로 난다. 대추라고 부르는 열매는 씨가 단단한 핵에 싸여 있는 타원형 핵과로, 길이가 2.5-3.5cm이며 처음에는 초록색을 띠다가 9-10월에 적갈색이나 붉은 갈색으로 익는다. 대추는 날로 먹기도 하며, 말려서 저장하기도 한다. 특히 한방에서는 소화제·진통제·해열제·이뇨제 등으로 많이 이용되며, 밤과 함께 제삿상에 반드시 올려지는 과일이기도 하다. 꽃은 황록색으로 5∼6월에 피며 양성화로 취산 화서(..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