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나무 병충해_2

2019. 9. 10. 01:40원예

사과 검은 별무늬병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갈색 내지 녹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그 뒷면에는 흑녹색의 포자가 생기며, 병반부는 고사, 탈락한다. 과실에는 흑색의 소반점이 형성, 확대되면서 기형과 가 되고, 균열이 나타난다. 가지는 표면이 거칠고, 표피가 파괴되는 흑색의 병반이 형성된다.

 

병든 잎과 과실에서 자낭각 형태로 월동한다. 또한, 해양성 기후에서 는 가지 병 반상에 균사로 월동하기도 하지만 그 밖의 지역에서는 흔치 않다. 가을에 균사체를 형성한 후 낙엽한 4주 이내에 대부분의 자낭각이 형성된다. 동면기 후에(온도 0℃) 자낭각은 계속해서 성숙하며 자낭과 자낭포자가 발달한다. 습기가 자낭각 발달에 필요하다. 자낭각 발달에 최적온도 범위는 8~12℃이며 자낭포자 성숙의 최적온도는 16~18℃이다. 사과원의 월동엽이 젖어 들어감에 따라 성숙한 자낭이 주공을 통해 팽창하며 자낭포자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것은 바람에 의해 분산되며 이들이 1차 감염을 시작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발아기경에 1차 자낭 포자가 성숙하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자낭포자는 계속 성숙하며 5~9주 동안 포자방출은 계속된다. 자낭포자 최대분산시기는 보통 개화 직전과 만개기 사이에 일어난다. 자낭포자가 얇은 층의 습기가 찬 상태의 잎이나 과실표면에 부착되면 포자가 발아하며 감염은 1~26℃ 온도범위에서 일어난다. 균이 일단 큐티클층을 통과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병반상에 분생자경, 분생 포자를 형성한다. 분생 포자는 여름철 병 발생의 주요 전염원이 된다. 이 병은 전 세계 대부분의 사과 재배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 이나 유럽에서는 가장 중요한 사과 병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2년 미국 Maryland에서 도입된 378주의 사과나무 가운데 수원, 대전, 전주에 심긴 55주의 묘목에서 최초로 발생이 확인되었다. 즉각적으로 실시된 박멸 프로그램에 의해 그 후 병 발생보고는 없었으나 1990년부터 1992년까지 경북 청송 지방을 위시하여 영주, 의성, 봉화, 경주, 영천 등지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힌 바 있다. 그후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청송, 거창, 무주 등지의 극히 일부 사과원에서 발생하였으며, 1997년 이후부터는 병 발생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과 그을음병

과실, 가지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표면에 흑녹색 내지 흑색의 그을음 증상이 부정형으로 나타난다. 표면에만 기생하며, 조직 내부에 침입, 피해를 주지는 않으나 발생하면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나뭇가지에도 그을음 증상이 나타나나 큰 피해는 주지 않는다.

 

사과와 배를 재배하는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며 22종의 식물에 기생성이 있고 비가 많은 조건하에서 특히 6~7월에 일조시간이 부족할 때 많이 발생한다. 그을음병은 봄에 포자를 형성하며 강우에 의해 포자가 분산되는 과실의 감염은 빠른 경우 낙화 2~3주부터 시작되며, 최적 조건하에서 12~18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며 포장 조건에서는 20~25일의 잠복기간이 소요된다. 그을음병의 발생 시기는 6월 중순부터 9월 하순까지인데 봄과 가을에 발생이 많고 특히 이 기간에 기온이 낮고 강우가 잦으면 발생이 많아지며, 여름의 고온 기간에는 발생이 적다.

 

사과 겹무늬썩음병

과실, 가지에 주로 발생한다. 과실에는 처음 황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윤문상의 큰 병반이 형성되고, 심하면 물이 흐르고, 과일 전체가 부패, 낙과한다. 한편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원형 반점이 형성, 진전이 매우 느리고 병반 주위에 적색의 테를 형성하기도 한다. 탄저병과 다른 점은 중앙에 까만 소 흑점(병 자각)이 형성되고, 과일을 쪼개 보면 심부까지 부패하며, 병반이 함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가지에서는 사마귀 형성(조피), 굵은 가지의 윤문 증상, 가지마름증상 등으로 나타나는데, 사마귀 증상의 피해가 가장 크다.

 

세계 각지에서 사과나무, 배나무 등 20과 34 속 식물에서 발견되며 비교적 온난하고 다습한 지방에서 많이 발생한다. 자낭포자는 강우가 없어도 전반이 이루어지지만 분생 포자는 강우 시에 전반 된다. 병 자각에서 분출되는 병원균의 양은 강우의 양과 지속시간과 관계가 있다. 병원균은 균사, 병 자각, 자낭각의 형태로 사마귀 조피증상이나 가지마름증상, 전년도 이병 과실에서 월동하고 다음 해 5월 중순~8월 하순경 사이 비가 올 때 포자가 누출되고 빗물에 튀어 과실의 과점 속에서 잠복하고 있다가 과실이 성숙되어 수용성 전분 함량이 10.5%에 달하는 생육후기에 발병한다. 포자가 과실 표면에 도달하여 감염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15℃에서는 24시간, 20℃에서는 10시간, 25℃에서는 8시간의 보습기 간이 필요하며 우리나라에서 감염 최성기는 장마 기간 중이다. 1970년대부터 병원균에 감수성이 높은 후지 품종의 재배 증가와 무봉지재배 그리고 이전까지 사과원에서 빈번히 사용되어온 보르도액이 제조상의 번거로움과 과실 색택의 문제로 인해 사용되지 않게 되어 이 병의 발생이 증가되었다. 1999년에는 홍로 품종의 주간부 피목 부위에서 수액이 누출되면서 짙은 적색으로 썩는 증상이 다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이것은 봄철의 관배수 관리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사과 갈색무늬병

주로 잎에 발생하나 드물게 과일에도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자색 또는 흑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 점차 확대되어 갈색 또는 흑갈색의 대형 병반이 형성되며, 병반 둘레가 녹색으로 남고, 다른 부위는 황색으로 변하여 조기 낙엽 된다. 병반에 보이는 검고 작은 반점은 포자층으로, 그 위에 분생 포자가 형성된다.

 

병든 잎에서 균사 또는 자낭반의 형태로 월동하여 다음 해 자낭포자와 분생포자가 1차 전염원이 된다. 이 병은 분생 포자나 자낭포자의 공기전염에 의하며 포자비산은 5월부터 시작되어 10월까지 계속되는데 7월 이후 증가하여 8월에 가장 많은 양이 비산 된다. 잎에서는 빠르면 6월 중하순에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7월 상순경에는 과수원에서 관찰할 수 있다. 8월 이후 급증하여 9~10월까지 계속된다. 여름철에 비가 많고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이 많으며 배수불량, 밀식, 농약살포량 부족인 사과원에서 발생이 많다. 사과나무에서 조기낙엽을 가장 심하게 일으키는 병이다. 포자비산은 5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지는데 포자비산량 조사를 통해서 초기 발생 시기와 이후의 발생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사과원에서 보통 빠르면 6월 중하순, 늦어도 7월 상순에는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병징의 발현을 방제 시작의 신호로 보면 된다. 이 병은 일본,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캐나다, 브라질 등지에서 발생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916년 수원, 1917년 나주, 대전, 대구 등지에서 최초 발생이 보고된 이래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발생하여 탄저병과 더불어 그 피해가 극심하였다. 1960년대까지는 주재배 사과 품종이 갈색무늬병에 이병 성인 홍옥과 국광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는 후지 등의 신품종으로 대체하여 재배하였고 농약의 개발로 1980년대까지는 갈색무늬병의 발생은 크게 문제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주 품종인 후지 품종과 다른 신품종에도 발생하기 시작하여 매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농약의 관행방제 사과원에서도 많이 발생되어 조기낙엽 등의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7, 8월에 강우량이 많고 저온이었던 1993년에 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그 이후 계속해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1998년에는 봄철 고온 다우로 인해 병 발생이 5월부터 시작되었고 여름철엔 비 온 날이 계속되었으며 9~10월 고온 조건이 유지됨으로써 10월 평균 이병엽율 50% 이상, 발생과 원율 100%로 그 피해가 심각하였다.

 

사과나무병충해_1  https://withdada.tistory.com/3

 

사과나무 병충해 _1

사과나무의 중요한 병해의 하나인 부란병은 줄기나 상처 난 주위의 수피가 죽어 껍질 내부가 갈색으로 되는 것으로, 병 환부를 깎아내고 발코트나 가성소다를 바른다. 수피 :무줄기의 코르크 형성층보다 바깥 조직..

withdada.tistory.com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 나무 알아볼까요?  (0) 2019.09.10
자두나무 알아볼까요?  (0) 2019.09.10
매실나무 알아볼까요?  (0) 2019.09.10
사과나무 병충해 _1  (0) 2019.09.10
사과나무 알아볼까요?  (0) 201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