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9. 10. 01:30ㆍ원예
사과나무의 중요한 병해의 하나인 부란병은 줄기나 상처 난 주위의 수피가 죽어 껍질 내부가 갈색으로 되는 것으로, 병 환부를 깎아내고 발코트나 가성소다를 바른다.
수피 :무줄기의 코르크 형성층보다 바깥 조직을 말한다. 보통 수목이 비대해지면, 처음 피층에 코르크층이 생기고 그 후 새로운 코르크층의 형성이 체관부의 안쪽까지 미치게 되어 그 바깥쪽으로 격리된 체관부 등의 조직세포는 죽게 된다. 이러한 죽은 조직과 코르크층의 호층을 수피라 한다. 수피에는 체내외의 통기 작용을 하는 피목이라는 조직이 있다.
잎이 갈색으로 변하여 떨어지는 갈색무늬병에는 지네브제를 뿌려 방지한다. 잎에 오는 병으로는 반점낙엽병이 있다. 뿌리에 오는 날개 무늬병에 걸린 나무는 불에 태우거나 토양에 구멍을 뚫고 클로로피크린으로 소독한다. 고접병(高接病)은 바이러스 때문에 오는 것으로 내병성 대목에 접목하거나 무보 독 접수를 이용한다.
열매를 뒤늦게 썩게 하는 탄저병은 지네브제를 살포하여 방지한다. 그밖에 병해로는 부패병·붉은 별무늬병·흰 가루병·꽃 썩음병·검은 무늬병 등이 있다. 중요한 충해로 응애류를 들 수 있다. 응애는 크기가 0.3mm 정도이다. 잎의 기능을 저해하는데 여러 가지 살비제를 바꾸어 가며 뿌려야 한다. 사과 진딧물은 잎의 즙액을 빨아 심하면 사과나무 생장에 큰 피해를 준다.
지네브 : 수용성 나밤(nabam)에 수용성 아연염(亞鉛鹽)을 가하여 침전시켜 만든다. 엷은 색깔의 분상체(粉狀體)로서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카본디술파이드·피리딘에는 녹는다. 또한 빛·열·수분에 대하여 매우 불안정한 화합물이다.
한국에서는 과수의 탄저병 방제약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광범위한 병해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응애: 몸길이 1∼2mm의 작은 동물군이다. 응애라는 말은 본래 평안도에서 전라남도 순천에 이르는 사과 재배지대의 사과나무에 기생하는 사과응애, 특히 다른 거미류와 달리 기생 습성이 고도로 진화했는데, 어떤 종은 전적으로 식물에만 기생하는가 하면 어떤 종은 척추동물 및 무척추동물들과 복잡한 기생 관계를 맺고 있다. 또 일부는 식물질을 분해하여 영양물질의 순환에 큰 역할을 하기도 하고 직간접적으로 인간에게 해로운 동물을 잡아먹어 인간생활에 유익한 것도 있다. 그런가 하면 농작물이나 가축에 기생하여 직접 경제적 손해를 끼칠 뿐만 아니라, 동식물의 병원체를 옮기고 다녀 인체에 해로운 것도 있다.
살비제: 응애류를 선택적으로 살상시키는 약제이다. 파라티온 ·말라티온 ·EPN 등의 유기인 살충제가 응애의 성충에 대해 살충력만 있고 살란력(殺卵力)은 거의 없어 살비제로서 실용성이 낮다. 살비제는 응애의 성충 ·유충뿐만 아니라 알에 대해서 효과가 커야 하고, 잔존 실효성이 길어야 한다. 또한, 응애류에만 선택적 효과가 있어야 한다. 작물에 대해 약해가 없어야 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살비제로는 켈탄(dicotol) ·테디온(tedion:tetraditon) 등이 있다.
침투성 살충제를 뿌리는 것이 좋다. 열매 속을 먹어 들어가는 심식충류는 사과나무에 오기 전에 먼저 발생하는 복숭아나무류를 멀리하거나 땅속에서 고치로 월동하는 것은 디아지논을 뿌린다. 열매에 성충이 오기 전에 유기인제를 뿌린다. 나뭇가지에 붙어사는 깍지벌레류는 겨울에 기계유유제를 뿌려 방지한다.
기계유유제:깍지벌레를 비롯한 월동해충 구제에 유효하다. 기계유유제 -60은 기계유가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에멀션 화제로는 비누·크레소 비누액 등이 사용되는데, 대체로 유백색(乳白色)의 끈끈한 에멀션으로 수분 함량이 많으므로 저온에서 응고하는 결점이 있다. 기계유유제 -80 이상의 고농도 제품은 투명한 기름 모양 액체로 되어 있으며, 수분 함량이 적으므로 저온에서도 동결로 인해 유분이 분리되지 않는다. 사용법은 배·포도·사과·감귤 등 과수의 월동해충에 대한 구충제로 물에 타서 유분 3∼4% 정도 액으로 하여 물에 타서 뿌려 준다.
위생곤충방제와 농작물, 산림보호에서 살충제의 살포는 증가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잔류성 농약의 원인 때문에 디디티(DDT)와 다른 유기염소제가 더 이상 살포되지 않고 있으며 저독성인 천연산 살충제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살충제:살충제를 곤충에 대한 효과에 따라 접촉제·소화 중독제·가스 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처리된 식물체에 살충제가 어떻게 존재하고 분산되느냐에 따라 국부 효과를 지닌 잔류성 살충제와 입제 형태로 약제가 토양에 살포, 유효성분이 식물에 흡수되어 오랜 기간 동안 방제효과가 있는 침투성 살충제(systemic insecticide)로 나눌 수 있다.
잎이나 연한 순 또는 열매를 갉아먹는 잎말이나방류는 디프제나 메프제를 뿌려 방제한다. 나뭇가지에 알을 낳고 유충이 굵은 가지 속을 파먹는 천우충은 알 낳은 장소를 찾아 알을 제거하거나 벌레 똥이 발견될 때는 굴속에 유기인제를 주사기로 주입시켜 잡는다. 그밖에 사과나무를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매미류, 박쥐나방, 텐트나방,딱정벌레, 등에잎벌 등이 있다.
박쥐나방 :대형의 나방으로 날개 길이가 45∼110mm로 개체에 따라 변이가 많다. 앞날개의 뒷 가두리 기부에는 날개 걸이가 있으며 바로 우화 된 신선한 개체는 앞날개 기부에서 바깥 가로선 및 바깥 가두리부가 띠 모양에 녹색을 나타내지만 보통 보기에는 회백색으로 보인다.
연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이듬해 봄에 부화한 유충은 각종 초본식물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가해하다가 목본식물로 이동해서 가지의 껍질을 환상으로 먹고 이어 줄기의 중심부를 먹어 들어가며 위아래로 갱도를 만든다.
박쥐나방의 피해는 산에 인접한 과수원에서 심하며 포도나무 ·사과나무 ·밤나무 등에 가해한다.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사과나무병충해_2https://withdada.tistory.com/4
사과나무 병충해_2
사과 검은 별무늬병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갈색 내지 녹갈색의 반점이 생기고, 그 뒷면에는 흑녹색의 포자가 생기며, 병반부는 고사, 탈락한다. 과실에는 흑색의 소반점이 형성, 확대되면서 기..
withdada.tistory.com
사과나무 알아볼까요? https://withdada.tistory.com/2
사과나무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사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입니다. 봄에 잎이 나옴과 동시에 담홍색의 꽃이 피고, 꽃 받기가 커져서 과일로 됩니다. 사과는 편구형이며 지름 3~10cm로서 양끝이 들어갔다. 과일 껍..
withdada.tistory.com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 나무 알아볼까요? (0) | 2019.09.10 |
---|---|
자두나무 알아볼까요? (0) | 2019.09.10 |
매실나무 알아볼까요? (0) | 2019.09.10 |
사과나무 병충해_2 (0) | 2019.09.10 |
사과나무 알아볼까요? (0) | 2019.09.10 |